본문 바로가기

사용적합성평가

메인 바로가기

사용적합성평가 안내

01

사용적합성평가

  • 사용적합성(usability)이란 제품 사용 시 발생 할 수 있는 사용오류 등의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가 의료기기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의료기기 디자인(예:버튼, 사용자화면, 사용설명서 등) 특징을 말합니다.
  • 사용적합성평가란 의도된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의 정확한 사용을 유도하고 사용 오류 및 위험을 완화하기 평가 프로세스를 말합니다.

02

사용적합성 평가 적용대상 및 시기

  • 모든 의료기기에 적용되며, 「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」 적용에 따라 사용적합성은 GMP에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.
  • 따라서, 의료기기 제조자는 사용적합성을 적용하여 의료기기를 설계하여야 하며, 고객 불만 등 생산 후 활동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적합성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하고, 필요 시 사용적합성을 적용하여 설계 변경을 하는 등 사용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품질경영시스템을 확립하여야 합니다.
  • 2021년 1월 1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GMP 심사를 신청한 의료기기부터 등급별 순차적으로 GMP 심사 시 사용적합성을 포함하여 심사하고 있습니다.
    GMP심사

03

사용적합성 평가절차

  • STEP 01

    사용정의

    • 사용자 프로파일 정의
    • 사용환경 정의
    • 사용 인터페이스 정의
  • STEP 02

    위험분석

    • 위험/위해요인 식별/분석
    • 인터페이스 관련 위험/위해요인 분석
    • 사용 인터페이스 정의
  • STEP 03

    시나리오

    • 위해 관련 사용 시나리오 작성
    • 위험분석에 따라 각 시나리오 당 달성 목표관찰 항목 작성
  • STEP 04

    환경구축

    • 정의된 사용 환경에 따라 평가 환경 구축
  • STEP 05

    교육

    • 의료기기 교육훈련외에 별도 필요 항목 [사용시 주의사항 등] 교육
  • STEP 06

    평가

    • 정의된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평가수행
    • 진행자는 평가 안내 및 통제
    • 관찰자는 관찰항목 및 사용 오류 관찰 및 기록
  • STEP 07

    분석

    • 목표 달성, 사용오류 등 관찰 항목 및 설문 결과 정리 및 분석